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위의 형태와 소화작용 그리고 관련 질병

by 유디스토리 2024. 3. 16.
반응형

 

 

위는 배의 왼쪽 윗부분에 위치한 소화 기관의 일부분입니다. 위의 윗부분에는 횡격막이 있고 위의 뒤쪽에는 췌장이 있습니다. 위는 식도에서 내려온 음식물을 십이지장으로 보냅니다. 위에 음식물이 있는 동안 위산과 위의 물리적 운동으로 소화작용이 일어납니다. 평소에는 수축해 있다가 음식물이 들어오면 늘어납니다. 위의 평균 용량은 1500ml이고 사람에 따라서는 4000ml까지도 늘어날 수 있습니다. 식사 때마다 약 600ml 정도의 위액을 분비합니다. 위액은 위산과 산도가 비슷한 강산입니다. 위산은 음식물의 세균을 죽입니다. 위는 위를 수축 팽창하는 운동과 함께 단백질 분해 등을 위한 위액을 분비하여 음식물을 암죽과 같은 상태로 만듭니다. 음식물은 6초 정도만에 식도를 지나 위에 도착합니다. 위에 도착한 음식물은 2~3시간 정도 뒤에 다음 소화기관인 십이지장을 거처 소장으로 이동합니다.

 

위의 형태

위는 들문, 위바닥(위저부), 위몸통(위체부), 날문방(유문부), 날문(유문)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들문은 식도조임근과 연결되고 식도에서 위로 음식물이 지나가는 통로입니다. 위바닥은 왼쪽으로 누었을 때 위의 가장 아래에 위치하고 식도를 지나온 음식물이 잠시 머무는 장소입니다. 위몸통은 위의 중심 부위에 있고 위의 대부분을 차지합니다. 위몸통에는 세로 방향의 주름이 있는데 이 주름은 표면적을 넓혀주고, 음식물이 있을 때는 편평해집니다. 날문방은 위몸통과 날문 사이의 부분입니다. 위궤양, 위염이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위치입니다. 날문(유문)은 위와 십이지장 사이의 문입니다. 날문의 조임근이 음식물을 막아주어 위는 음식물을 담아두고 소화할 수 있습니다. 위벽의 두께는 약 3~8mm 정도이고 점막층, 점막하층, 근육층, 장막 하층, 장막층 등 5개 층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점막층과 근육층 사이의 점막하층에 혈관과 자율신경이 분포되어 있습니다. 혈관은 점막하층에 평행한 방향으로 이어지다가 점막을 향해 수직 방향으로 갈라집니다. 위에 있는 신경은 대부분 자율신경입니다. 부교감신경절은 위 벽 속에, 교감신경절은 위벽 바깥쪽에 분포합니다. 위액의 분비와 위 운동과 관련하여 자율신경은 억제 작용을 하고 부교감신경은 촉진하는 작용을 합니다.

 

위의 소화작용

위에서는 위액에 의한 소화작용과 위벽의 연동운동에 의한 소화작용이 일어납니다. 첫째로 위액에 의한 소화 작용은 대부분 위점막에서 이루어집니다. 위액은 단백질을 분해하는 펩신, 지방을 분해하는 리파아제 등의 소화효소와 강한 산성을 띠는 위산 등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위의 벽세포에서는 강한 산성인 위산이 분비되어 음식과 함께 섭취된 세균을 죽이고 소화를 돕습니다. 위산에 의해 펩시노겐이 활성화되어 펩신을 만들게 됩니다. 소화효소인 펩신은 주세포에서 분비되어 단백질을 분해하고 장내분비세포에서는 위의 이완과 수축을 제어하는 호르몬을 생성합니다. 한 끼 식사에 600~1000ml의 위액이 생성됩니다. 위산은 위에서 생성되는 가스트린이라는 호르몬에 의해서 그 분비가 조절됩니다. 위내벽에서는 분비된 뮤신은 점액에 끈기를 부여하는 물질로서 강한 산성과 소화효소로부터 위벽을 보호합니다. 두 번째로 위벽의 연동운동에 의한 소화작용은 위에 있는 가로, 세로, 사선 방향의 튼튼하고 유연한 근육층에 의해서 이루어집니다. 이러한 근육층이 가로, 세로, 사선방향으로 음식물을 쥐어짜고, 늘이고, 줄이고, 비트면서 음식물을 유미즙 상태로 만듭니다. 이후 이 음식물은 유문 괄약근이 열리면서 소장으로 내려갑니다. 음식물이 위를 빠져나간 다음에도 위는 계속 운동을 합니다. 그래서 일정한 시간이 지나도 다시 음식물이 들어오지 않으면 우리는 배고픔과 같은 통증을 느끼게 됩니다. 이러한 위의 작용은 자율신경계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뇌에서 장기를 움직이도록 명령하지 않아도 음식물을 섭취하면 위액과 위벽의 연동운동을 통한 소화작용이 일어납니다.

 

위 관련 질병들

위와 관련된 질병으로는 우선 소화불량이 있습니다. 소화불량은 위장의 운동기능 저하가 원인으로 음식물이 위에 멈춰 있는 듯한 답답한 증상이 나타납니다. 위산과다는 위벽을 보호하는 뮤신보다 상대적으로 위산이 많이 분비되어 속 쓰림이 나타나는 증상이고 위벽이 손상되는 위궤양으로 진행될 수 있습니다. 위천공은 위궤양 부위가 완전히 부식되어 위에 구멍이 생기는 질환입니다. 그 외에 스트레스, 약물, 감염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하는 급성 위염, 만성 위염 등의 위염은 위궤양뿐만 아니라 위암으로도 진행될 수 있습니다. 위에는 자율신경이 많이 존재하기 때문에 자율신경 관련 문제가 생기면 위의 기능에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반응형